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유럽 지역 예선으로, 2003년 12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진행되었다. 독일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고, 나머지 51개 팀은 조별 리그를 통해 본선 진출팀을 가렸다. 조 추첨 결과에 따라 8개 조로 나뉘어 각 조 1위는 본선에 직행, 각 조 2위 팀 중 상위 2팀과 나머지 6팀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 진출을 다퉜다. 플레이오프에서는 스페인, 스위스, 체코가 승리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최종적으로 독일을 포함한 14개 팀이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세 라운드로 진행되었으며, 최종 예선을 거쳐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대한민국, 이란이 본선에 진출했다. -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참가하여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고, 각 조 1위를 차지한 5개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으며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겸하여 각 조 상위 3개 팀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는 유럽 국가들의 월드컵 본선 진출을 결정하는 최종 단계로, 각 조 2위 팀 중 추첨된 스페인, 스위스, 체코가 슬로바키아, 터키, 노르웨이를 꺾고 본선에 진출했다. -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4조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4조에서는 프랑스가 조 1위로 본선에 직행하고 스위스가 조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이스라엘, 아일랜드, 키프로스, 페로 제도가 그 뒤를 이었다. -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위는 본선에 직행, 2위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추가 진출팀을 가려 총 15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1974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1974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32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어 각 조 1위 팀은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9조 1위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통해 진출 여부를 결정했으며, 이탈리아, 동독, 폴란드 등 8개국이 본선에 진출하고 소련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연도 | 2006 |
개최 기간 | 2004년 8월 18일 – 2005년 11월 16일 |
참가 팀 수 | 51 |
경기 수 | 282 |
총 득점 | 778 |
최다 득점 선수 | 파울레타 (11골) |
이전 대회 | 2002 |
다음 대회 | 2010 |
통계 | |
총 관중수 | 10,040,395 |
경기당 평균 관중수 | 35,604 |
2. 시드 배정
2003년 12월 5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서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 시드는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및 UEFA 유로 2004 예선에서 획득한 경기당 평균 승점을 기준으로 배정되었다.[2]
- 독일은 2006년 FIFA 월드컵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한다.
- 프랑스는 1998년 FIFA 월드컵 우승 팀 자격으로 2002년 FIFA 월드컵에 자동 출전했기 때문에 UEFA 유로 2004 예선 성적만을 반영한다.
- 포르투갈은 UEFA 유로 2004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했기 때문에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성적만을 반영한다.
- 카자흐스탄은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에 참가한 경험이 없는 관계로 예선 성적을 반영하지 않는다.
- 잉글랜드,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은 자국 내 축구 클럽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클럽 대항전 일정을 고려하여 6개 팀으로 구성된 조에 편성된다.
포트 A | 포트 B | 포트 C | 포트 D | 포트 E | 포트 F | 포트 G |
---|---|---|---|---|---|---|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8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개 조는 7개 팀, 나머지 7개 조는 6개 팀으로 구성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은 본선에 직행했고, 각 조 2위 팀 중 상위 2개 팀(6조 폴란드, 8조 스웨덴)은 역시 본선에 직행했다. 나머지 6개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는 2004년 9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진행되었다.[1]
3. 조별 리그
각 조의 순위는 다음 표와 같다.1조 2조 3조 4조 5조 6조 7조 8조 네덜란드 우크라이나 포르투갈 프랑스 이탈리아 잉글랜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크로아티아 체코 튀르키예 슬로바키아 스위스 노르웨이 폴란드 스페인 스웨덴 루마니아, 핀란드, 북마케도니아, 아르메니아, 안도라 덴마크, 그리스, 알바니아, 조지아, 카자흐스탄 러시아,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히텐슈타인, 룩셈부르크 이스라엘, 아일랜드, 키프로스, 페로 제도 스코틀랜드, 슬로베니아, 벨라루스, 몰도바 오스트리아, 북아일랜드, 웨일스, 아제르바이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벨기에, 리투아니아, 산마리노 불가리아, 헝가리, 아이슬란드, 몰타 3. 1. 동점자 규칙
승점이 같은 팀이 있을 경우 다음 순서대로 순위를 결정했다.[1]
# 승점이 같은 두 팀 간의 경기에서 더 많은 승점을 딴 팀이 우선시된다.
# 승점이 같은 두 팀 간의 경기에서 더 많은 득실차를 기록한 팀이 우선시된다.
# 승점이 같은 두 팀 간의 경기에서 다득점을 한 팀이 우선시된다.
# 조 전체에서 더 많은 득실차를 기록한 팀이 우선시된다.
# 조 전체에서 다득점을 한 팀이 우선시된다.
# 플레이오프를 할 때에는 중립 지역에서 실시하고, 연장전과 승부차기가 적용된다.
# 마지막으로 제비뽑기를 실시한다.
3. 2. 1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네덜란드 | 32 | 12 | 10 | 2 | 0 | 27 | 3 | +24 |
체코 | 27 | 12 | 9 | 0 | 3 | 35 | 12 | +23 |
루마니아 | 25 | 12 | 8 | 1 | 3 | 20 | 10 | +10 |
핀란드 | 16 | 12 | 5 | 1 | 6 | 21 | 19 | +2 |
북마케도니아 | 9 | 12 | 2 | 3 | 7 | 11 | 24 | -13 |
아르메니아 | 7 | 12 | 2 | 1 | 9 | 9 | 25 | -16 |
안도라 | 5 | 12 | 1 | 2 | 9 | 4 | 34 | -30 |
width=25| | width=25| | width=25| | width=25| | width=25| | width=25| | width=25| | |
---|---|---|---|---|---|---|---|
네덜란드 | — | 2-0 | 2-0 | 3-1 | 0-0 | 2-0 | 4-0 |
체코 | 0-2 | — | 1-0 | 4-3 | 6-1 | 4-1 | 8-1 |
루마니아 | 0-2 | 2-0 | — | 2-1 | 2-1 | 3-0 | 2-0 |
핀란드 | 0-4 | 0-3 | 0-1 | — | 5-1 | 3-1 | 3-0 |
북마케도니아 | 2-2 | 0-2 | 1-2 | 0-3 | — | 3-0 | 0-0 |
아르메니아 | 0-1 | 0-3 | 1-1 | 0-2 | 1-2 | — | 2-1 |
안도라 | 0-3 | 0-4 | 1-5 | 0-0 | 1-0 | 0-3 | — |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1조에서 네덜란드가 10승 2무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직행했다. 체코는 9승 3패로 조 2위를 기록,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에 진출했다. 루마니아, 핀란드, 북마케도니아, 아르메니아, 안도라는 탈락했다.
3. 3. 2조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조에서는 우크라이나가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직행했다. 튀르키예는 조 2위를 기록, 플레이오프에서 스위스에 패해 탈락했다. 덴마크, 그리스, 알바니아, 조지아, 카자흐스탄은 탈락했다. 카자흐스탄은 UEFA 편입 후 처음으로 유럽 지역 예선에 참가했다.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우크라이나 | 25 | 12 | 7 | 4 | 1 | 18 | 7 | +11 |
튀르키예 | 23 | 12 | 6 | 5 | 1 | 23 | 9 | +14 |
덴마크 | 22 | 12 | 6 | 4 | 2 | 24 | 12 | +12 |
그리스 | 21 | 12 | 6 | 3 | 3 | 15 | 9 | +6 |
알바니아 | 13 | 12 | 4 | 1 | 7 | 11 | 20 | -9 |
조지아 | 10 | 12 | 2 | 4 | 6 | 14 | 25 | -11 |
카자흐스탄 | 1 | 12 | 0 | 1 | 11 | 6 | 29 | -23 |
width=25 | | width=25 | | width=25 | | width=25 | | width=25 | | width=25 | | width=25 | | |
---|---|---|---|---|---|---|---|
우크라이나 | — | 0-1 | 1-0 | 1-1 | 2-2 | 2-0 | 2-0 |
튀르키예 | 0-3 | — | 2-2 | 0-0 | 2-0 | 1-1 | 4-0 |
덴마크 | 1-1 | 1-1 | — | 1-0 | 3-1 | 6-1 | 3-0 |
그리스 | 0-1 | 0-0 | 2-1 | — | 2-0 | 1-0 | 3-1 |
알바니아 | 0-2 | 0-1 | 0-2 | 2-1 | — | 3-2 | 2-1 |
조지아 | 1-1 | 2-5 | 2-2 | 1-3 | 2-0 | — | 0-0 |
카자흐스탄 | 1-2 | 0-6 | 1-2 | 1-2 | 0-1 | 1-2 | — |
3. 4. 3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포르투갈 | 30 | 12 | 9 | 3 | 0 | 35 | 5 | +30 |
슬로바키아 | 23 | 12 | 6 | 5 | 1 | 24 | 8 | +16 |
러시아 | 23 | 12 | 6 | 5 | 1 | 23 | 12 | +11 |
에스토니아 | 17 | 12 | 5 | 2 | 5 | 16 | 17 | -1 |
라트비아 | 15 | 12 | 4 | 3 | 5 | 18 | 21 | -3 |
리히텐슈타인 | 8 | 12 | 2 | 2 | 8 | 13 | 23 | -10 |
룩셈부르크 | 0 | 12 | 0 | 0 | 12 | 5 | 48 | -43 |
슬로바키아와 러시아는 승점, 상대 전적(2무, 합계 1-1)이 같아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슬로바키아(러시아 원정 1골)가 2위, 러시아(슬로바키아 원정 0골)가 3위를 기록하면서 슬로바키아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1]
3. 5. 4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프랑스 | 20 | 10 | 5 | 5 | 0 | 14 | 2 | +12 |
스위스 | 18 | 10 | 4 | 6 | 0 | 18 | 7 | +11 |
이스라엘 | 18 | 10 | 4 | 6 | 0 | 15 | 10 | +5 |
아일랜드 | 17 | 10 | 4 | 5 | 1 | 12 | 5 | +7 |
키프로스 | 4 | 10 | 1 | 1 | 8 | 8 | 20 | -12 |
페로 제도 | 1 | 10 | 0 | 1 | 9 | 4 | 27 | -23 |
width=25| | width=25| | width=25| | width=25| | width=25| | width=25| | |
---|---|---|---|---|---|---|
프랑스 | — | 0-0 | 0-0 | 0-0 | 4-0 | 3-0 |
스위스 | 1-1 | — | 1-1 | 1-1 | 1-0 | 6-0 |
이스라엘 | 1-1 | 2-2 | — | 1-1 | 2-1 | 2-1 |
아일랜드 | 0-1 | 0-0 | 2-2 | — | 3-0 | 2-0 |
키프로스 | 0-2 | 1-3 | 1-2 | 0-1 | — | 2-2 |
페로 제도 | 0-2 | 1-3 | 0-2 | 0-2 | 0-3 | — |
스위스와 이스라엘은 승점 및 상대 전적(2무, 합계 3-3)이 같아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스위스(이스라엘 원정 2골)가 2위, 이스라엘(스위스 원정 1골)이 3위를 기록하면서 스위스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3. 6. 5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이탈리아 | 23 | 10 | 7 | 2 | 1 | 17 | 8 | +9 |
노르웨이 | 18 | 10 | 5 | 3 | 2 | 12 | 7 | +5 |
스코틀랜드 | 13 | 10 | 3 | 4 | 3 | 9 | 7 | +2 |
슬로베니아 | 12 | 10 | 3 | 3 | 4 | 10 | 13 | -3 |
벨라루스 | 10 | 10 | 2 | 4 | 4 | 12 | 14 | -2 |
몰도바 | 5 | 10 | 1 | 2 | 7 | 5 | 16 | -11 |
width=25| | width=25| | width=25| | width=25| | width=25| | width=25| | |
---|---|---|---|---|---|---|
이탈리아 | — | 2-1 | 2-0 | 1-0 | 4-3 | 2-1 |
노르웨이 | 0-0 | — | 1-2 | 3-0 | 1-1 | 1-0 |
스코틀랜드 | 1-1 | 0-1 | — | 0-0 | 0-1 | 2-0 |
슬로베니아 | 1-0 | 2-3 | 0-3 | — | 1-1 | 3-0 |
벨라루스 | 1-4 | 0-1 | 0-0 | 1-1 | — | 4-0 |
몰도바 | 0-1 | 0-0 | 1-1 | 1-2 | 2-0 | — |
이탈리아가 7승 2무 1패, 승점 23점으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직행했다. 노르웨이는 5승 3무 2패, 승점 18점으로 조 2위를 기록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체코에 합계 0-2로 패배하여 탈락했다. 스코틀랜드, 슬로베니아, 벨라루스, 몰도바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
3. 7. 6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잉글랜드 | 25 | 10 | 8 | 1 | 1 | 17 | 5 | +12 |
폴란드 | 24 | 10 | 8 | 0 | 2 | 27 | 9 | +18 |
오스트리아 | 15 | 10 | 4 | 3 | 3 | 15 | 12 | +3 |
북아일랜드 | 9 | 10 | 2 | 3 | 5 | 10 | 18 | -8 |
웨일스 | 8 | 10 | 2 | 2 | 6 | 10 | 15 | -5 |
아제르바이잔 | 3 | 10 | 0 | 3 | 7 | 1 | 21 | -20 |
6조에서는 잉글랜드가 8승 1무 1패, 승점 25점으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직행했다. 폴란드는 8승 2패, 승점 24점으로 2위를 기록했지만, 조 2위 팀 중 상위 2개 팀에 포함되어 본선에 진출했다. 오스트리아는 승점 15점으로 3위, 북아일랜드는 승점 9점으로 4위, 웨일스는 승점 8점으로 5위, 아제르바이잔은 승점 3점으로 6위를 기록하여 탈락했다.
width=25| | width=25| | width=25| | width=25| | width=25| | width=25| | |
---|---|---|---|---|---|---|
잉글랜드 | — | 2-1 | 1-0 | 4-0 | 2-0 | 2-0 |
폴란드 | 1-2 | — | 3-2 | 1-0 | 1-0 | 8-0 |
오스트리아 | 2-2 | 1-3 | — | 2-0 | 1-0 | 2-0 |
북아일랜드 | 1-0 | 0-3 | 3-3 | — | 2-3 | 2-0 |
웨일스 | 0-1 | 2-3 | 0-2 | 2-2 | — | 2-0 |
아제르바이잔 | 0-1 | 0-3 | 0-0 | 0-0 | 1-1 | — |
3. 8. 7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22 | 10 | 6 | 4 | 0 | 16 | 1 | +15 |
스페인 | 20 | 10 | 5 | 5 | 0 | 19 | 3 | +16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16 | 10 | 4 | 4 | 2 | 12 | 9 | +3 |
벨기에 | 12 | 10 | 3 | 3 | 4 | 16 | 11 | +5 |
리투아니아 | 10 | 10 | 2 | 4 | 4 | 8 | 9 | -1 |
산마리노 | 0 | 10 | 0 | 0 | 10 | 2 | 40 | -38 |
width=25 | | width=25 | | width=25 | | width=25 | | width=25 | | width=25 | |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 | 0-0 | 1-0 | 0-0 | 2-0 | 5-0 |
스페인 | 1-1 | — | 1-1 | 2-0 | 1-0 | 5-0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0-0 | 1-1 | — | 1-0 | 1-1 | 3-0 |
벨기에 | 0-2 | 0-2 | 4-1 | — | 1-1 | 8-0 |
리투아니아 | 0-2 | 0-0 | 0-1 | 1-1 | — | 4-0 |
산마리노 | 0-3 | 0-6 | 1-3 | 1-2 | 0-1 | — |
7조에서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가 6승 4무(승점 22점)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직행했다. 스페인은 5승 5무(승점 20점)로 조 2위를 기록하여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에 진출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4승 4무 2패, 승점 16점), 벨기에(3승 3무 4패, 승점 12점), 리투아니아(2승 4무 4패, 승점 10점), 산마리노(10패, 승점 0점)는 탈락했다.
3. 9. 8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크로아티아 | 24 | 10 | 7 | 3 | 0 | 21 | 5 | +16 |
스웨덴 | 24 | 10 | 8 | 0 | 2 | 30 | 4 | +26 |
불가리아 | 15 | 10 | 4 | 3 | 3 | 17 | 17 | 0 |
헝가리 | 14 | 10 | 4 | 2 | 4 | 13 | 14 | -1 |
아이슬란드 | 4 | 10 | 1 | 1 | 8 | 14 | 27 | -13 |
몰타 | 3 | 10 | 0 | 3 | 7 | 4 | 32 | -28 |
-- | -- | -- | -- | -- | -- | |
---|---|---|---|---|---|---|
크로아티아 | — | 1-0 | 2-2 | 3-0 | 4-0 | 3-0 |
스웨덴 | 0-1 | — | 3-0 | 3-0 | 3-1 | 6-0 |
불가리아 | 1-3 | 0-3 | — | 2-0 | 3-2 | 4-1 |
헝가리 | 0-0 | 0-1 | 1-1 | — | 3-2 | 4-0 |
아이슬란드 | 1-3 | 1-4 | 1-3 | 2-3 | — | 4-1 |
몰타 | 1-1 | 0-7 | 1-1 | 0-2 | 0-0 | — |
크로아티아와 스웨덴은 승점이 같아 승자승 원칙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상대 전적 2승으로 앞선 크로아티아가 1위, 스웨덴이 2위를 기록하였다.
4. 플레이오프
7개 조 2위 팀 중 상위 2개 팀(스웨덴, 폴란드)을 제외한 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스페인, 스위스, 체코가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4. 1. 플레이오프 출전을 위한 2위 팀의 결과
4조, 5조, 6조, 7조, 8조를 제외한 나머지 1조, 2조, 3조의 2위 팀들은 공정성을 위해 각 조 7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하고 비교한다.조 |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결과 | 결과 비교를 위해 전적에서 제외되는 조 7위 팀 |
---|---|---|---|---|---|---|---|---|---|---|---|
8 | 스웨덴 | 24 | 10 | 8 | 0 | 2 | 30 | 4 | +26 | 본선 직행 | 없음 |
6 | 폴란드 | 24 | 10 | 8 | 0 | 2 | 27 | 9 | +18 | 본선 직행 | 없음 |
1 | 체코 | 21 | 10 | 7 | 0 | 3 | 23 | 11 | +12 | 플레이오프 | 안도라 |
7 | 스페인 | 20 | 10 | 5 | 5 | 0 | 19 | 3 | +16 | 플레이오프 | 없음 |
4 | 스위스 | 18 | 10 | 4 | 6 | 0 | 18 | 7 | +11 | 플레이오프 | 없음 |
5 | 노르웨이 | 18 | 10 | 5 | 3 | 2 | 12 | 7 | +5 | 플레이오프 | 없음 |
3 | 슬로바키아 | 17 | 10 | 4 | 5 | 1 | 17 | 7 | +10 | 플레이오프 | 룩셈부르크 |
2 | 터키 | 17 | 10 | 4 | 5 | 1 | 13 | 9 | +4 | 플레이오프 | 카자흐스탄 |
- 스웨덴과 폴란드는 8개 팀 중 승점이 가장 높아서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나머지 6개 팀은 플레이오프로 진출한다.
- 세 그룹은 각각 7개 팀으로 구성되었고, 나머지 그룹은 각각 6개 팀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7위 팀과의 경기는 순위 결정에서 제외되었다.
4. 2. 플레이오프 경기 결과
5. 본선 진출팀
2006년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유럽 지역 예선을 통과한 14개 팀이 진출했다.
팀 | 진출 자격 | 진출 확정 날짜 | 월드컵 본선 진출 횟수 |
---|---|---|---|
Deutschland|독일de | 개최국 | 2000년 7월 6일 | 15회 (1934년, 1938년, 1954년[2], 1958년[2], 1962년[2], 1966년[2], 1970년[2], '1974년'[2], 1978년[2], 1982년[2], 1986년[2], 1990년[2], 1994년, 1998년, 2002년) |
Nederland|네덜란드nl | 1조 1위 | 2005년 10월 8일 | 7회 (1934년, 1938년, 1974년, 1978년, 1990년, 1994년, 1998년) |
Україна|우크라이나uk | 2조 1위 | 2005년 9월 3일 | 첫 출전 |
Portugal|포르투갈pt | 3조 1위 | 2005년 10월 8일 | 3회 (1966년, 1986년, 2002년)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4조 1위 | 2005년 10월 12일 | 11회 (1930년, 1934년, 1938년, 1954년, 1958년, 1966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8년', 2002년) |
Italia|이탈리아it | 5조 1위 | 2005년 10월 8일 | 15회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
England|잉글랜드영어 | 6조 1위 | 2005년 10월 8일 | 11회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66년', 1970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8년, 2002년) |
Србија и Црна Гора|세르비아 몬테네그로sr | 7조 1위 | 2005년 10월 12일 | 9회 (1930년, 1950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74년, 1982년, 1990년, 1998년) |
Hrvatska|크로아티아hr | 8조 1위 | 2005년 10월 8일 | 2회 (1998년, 2002년) |
Polska|폴란드pl | 2위 팀 중 상위 2팀 | 2005년 10월 8일 | 6회 (1938년, 1974년, 1978년, 1982년, 1986년, 2002년) |
Sverige|스웨덴sv | 2위 팀 중 상위 2팀 | 2005년 10월 12일 | 10회 (1934년, 1938년, 1950년, 1958년, 1970년, 1974년, 1978년, 1990년, 1994년, 2002년) |
España|스페인es | 플레이오프 승자 | 2005년 11월 16일 | 11회 (1934년, 1950년, 1962년, 1966년, 1978년, 1982년, 1986년, 1990년, 1994년, 1998년, 2002년) |
Schweiz|스위스de | 플레이오프 승자 | 2005년 11월 16일 | 7회 (1934년, 1938년, 1950년, 1954년, 1962년, 1966년, 1994년) |
Česko|체코cs | 플레이오프 승자 | 2005년 11월 16일 | 8회 (1934년, 1938년, 1954년, 1958년, 1962년, 1970년, 1982년, 1990년) |
- '''굵은 글씨'''는 우승 국가, ''기울임꼴''은 개최 국가를 의미한다.
참조
[1]
웹사이트
European Zone Draw for the Preliminary Competition
https://web.archive.[...]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7-12-24
[2]
웹인용
European Zone Draw for the Preliminary Competition
http://fifaworldcup.[...]
국제 축구 연맹(FIFA)
2017-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